서랍에 보관된 스마트폰…’나눔폰’ 서비스로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| KS News
[IT동아 정연호 기자] 한국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27.9개월 만에 스마트폰을 바꾼다.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상당히 빠른 편인데, 그렇다면 이 스마트폰들은 어떻게 되는 걸까? 환경단체의 설명에 따르면, 대부분의 폐스마트폰은 그냥 버려지거나 적절한 재활용 시설이 없는 개발 도상국에서 무분별하게 분해 및 처리된다.
처리 과정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, 그 안에 들어 있는 자원도 재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.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금, 구리, 은 등의 자원들은 새로운 전자제품이나 풍력의 터빈, 전기차 배터리, 태양광 패널 등에 사용될 수 있다.
세계경제포럼(WEF)에 따르면,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은 총 160억 개 정도가 있고, 이 중 53억 개의 제품이 올해 폐스마트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. 환경부에 확인해보니, 2021년 국내 스마트폰 의무재활용량에서 실제로 재활용된 비율은 10%도 되지 않았다. 매년 폐기되는 스마트폰의 양을 보면 이를 통해 회수할 수 있는 자원이 어마어마한데도 그냥 버려진다는 걸 알 수 있다.
스마트폰을 친환경적으로 재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 정부에선 한국 전자제품 자원순환 공제조합의 나눔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. 하지만, 스마트폰을 재활용할 때 걱정하는 게 그 안에 담긴 개인정보다. 누군가 이를 복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.
한국 전자제품 자원순환 공제조합은 이에 대해 “수거된 폐휴대폰을 파쇄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습니다”라고 안내하고 있다. 이를 통해 조성된 수익금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 기부되고, 개인은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. 파쇄된 폐휴대폰에 들어있는 금속물질들은 자원으로 재활용하고, 유해물질은 안전하게 처리하므로 환경에 이바지할 수 있다. 배터리는 방전한 뒤 파쇄하고, 후처리를 거쳐 코발트, 구리 등을 추출한다. 충전기도 파쇄 후 재활용한다.
재활용할 수 있는 품목은 충전기, 폐휴대폰 본체, 배터리가 있다. 휴대폰 본체는 기종과 관계없이 재활용할 수 있다. 온라인에서 신청한 뒤 착불 택배로 물건을 보내면 그 뒤로 개인이 할 일이 없어서 편하게 재활용이 가능하다.
나눔폰 홈페이지에 접속해 오른쪽 상단에 있는 ‘온라인 접수하기’를 누르면 재활용을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.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받을 것인지, 개인인지 단체인지를 체크하고 ‘다음’을 누르면 된다. 기부금은 스마트폰 기종이 아닌 중량에 따라 산정된다고 한다.
이름, 주민등록번호, 비밀번호, 연락처 등의 필수정보를 입력하고 그 아래에서 휴대폰 본체, 배터리, 충전기를 총 몇 개 기부할 것인지, 그리고 기부단체를 어디로 할 것인지 등을 정하면 된다. 현재는 초록우산재단으로만 기부를 할 수 있다. 신청서를 작성하면 접수번호를 받게 되는데, 이 번호와 신청서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통해서 접수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.
신청을 했으면 착불로 택배를 보내면 된다. 택배를 보내는 주소는 ‘참여방법’이라는 메뉴를 누르면 배출방법 부분에서 안내돼 있다. 해당 주소로 착불 형태로 보내면 된다. 스마트폰 속 자원을 회수하지 못하면, 결국 새롭게 자원을 채굴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도 환경이 파괴된다. 다만, 이러한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장롱이나 서랍에 오랫동안 보관하고 재활용하지 않고 있다. 심지어 기계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. 이처럼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하는 것은 환경을 지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.
글 / IT동아 정연호 (hoho@itdonga.com)
—————
원천: IT동아 (CC BY-NC-ND 2.0)